목차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금융상품입니다. 만 19세~34세의 일정 소득 이하 청년이 매달 저축을 하면 정부 기여금 최대 월 3.3만 원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, 금융 혜택이 매우 큽니다.
최대 5년간 꾸준히 저축할 경우, 정부 지원금과 이자 포함 최대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어 미래 준비에 도움이 됩니다. 특히 일반 적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, 청년층 사이에서 인기 있는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
기존의 아쉬운 점
그동안 청년도약계좌는 높은 혜택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아쉬움이 있었습니다. 바로 중도 인출이 불가능 하다는 점이었죠.
가입자가 5년 만기 이전에 돈이 급히 필요해도 계좌를 해지해야만 했고, 이 경우 그동안 쌓인 정부 기여금은 환수되고, 비과세 혜택도 사라지는 손해가 발생했습니다. 이런 구조는 유연한 재무계획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.
특히 독립, 취업 준비, 의료비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유동성이 필요한 경우, 아쉬움을 느낄 수밖에 없었습니다.
알아두면 돈이 되는 2025년 대한민국 정부 정책 Vol.26 청년도약계좌 부분인출 허용 #2025년정부정책 #돈 되는 정책 #세액공제 #정부혜택 #생활정보 #쇼츠 #Shorts
2025년 제도 개편 요약
이러한 문제점을 반영해 2025년 7월부터 청년도약계좌가 보다 유연한 방향으로 개선되었습니다. 이제는 가입 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중도 해지 없이 1회에 한해 '부분 인출'이 가능해졌습니다.
이제는 목돈이 필요한 순간에도 정부 혜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금을 일부만 꺼내 쓸 수 있어, 실용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. 이 변화는 청년층의 생활자금 수요, 위기 대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.
부분 인출 조건과 신청 방법
부분 인출을 위해 충족해야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계좌 가입 후 2년이 경과한 청년
- 5년 만기 이전까지 단 1회에 한해 인출 가능
- 납입한 금액 중 최대 40% 이내에서 인출 가능
신청은 은행 창구 방문 또는 각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도 가능합니다. 요즘 대부분의 은행이 앱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, 바쁜 직장인이나 대학생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적용금리 | <가입 3년 경과 후> 부분인출금액에 대해 기본금리 적용 |
<가입 3년 경과 전> 부분인출금액에 대해 중도해지금리 적용 | |
이자소득세 | <가입 3년 경과 후> 부분인출금액 해당 이자에 대한 이자소득 비과세 |
<가입 3년 경과 전> 부분인출금액 해당 이자에 대한 이자소득 과세 | |
정부기여금 | <가입 3년 경과 후> 부분인출금액 해당 정부기여금의 60% 지급 |
<가입 3년 경과 전> 부분인출금액 해당 정부기여금 미지급 |
신용점수 가점 혜택도 챙기자
2025년부터는 성실히 납입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게 신용점수 가점 혜택까지 부여됩니다. 2년 이상 납입한 이용자는 마이데이터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개인신용평가 점수에서 5~10점이 자동 가산됩니다.
특히 금융이력이 부족한 사회초년생, 대학생들에게는 신용점수 향상이 대출 한도와 금리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, 이 가점은 상당히 유리한 혜택입니다. 저축만 해도 신용이 올라간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금융 신용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.
가입 방법 및 유의사항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신청할 수 있으며, 7월 기준 1일(화)~11일(금)까지가 가입 기간입니다. 가입은 각 은행 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가능하며, 모바일 비대면 개설이 가장 일반적입니다.
계좌를 취급하는 주요 은행은 다음과 같습니다: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IBK기업, 농협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iM뱅크
정확한 일정과 세부사항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본인의 연소득 요건과 가입 자격도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.
청년도약계좌, 지금이 기회
청년도약계좌는 더 이상 ‘묶인 돈’이 아닙니다. 부분 인출이 가능해지면서 실생활에 맞는 유연한 금융 운영이 가능해졌고, 신용점수까지 올라가는 등 다양한 혜택이 추가됐습니다.
혹시 ‘5년은 너무 길다’고 고민하며 망설이고 있었다면, 지금이 다시 한 번 도전해 볼 수 있는 좋은 시점입니다. 정부 지원과 세제 혜택, 금융 신용 개선까지 모두 노릴 수 있는 기회! 당신의 첫 번째 목돈 마련, 청년도약계좌로 시작해 보세요.
📌 신청 기간: 매월 1일~11일 📱 신청 방법: 취급 은행 앱 또는 영업점 🔍 더 알아보기: 서민금융진흥원 바로가기
🔗 출처: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(2025.07.11, 기자 한지민)










